분류 전체보기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상 Geometry #2 - Homogeneous Coordinates (동차 좌표계) 간단하게 말하면, Homogeneous Coordinates는 extra dimension을 추가해주는 역활을 한다. 즉, 2차원의 좌표를 3차원의 좌표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영상 Geometry #1 - 좌표계 이 공부 자료는 다크 프로그래머님(darkpgmr.tistory.com/)의 자료를 보고 정리한 자료입니다. 대부분의 그림은 다크 프로그래머님의 티스토리 출처입니다. 기본적으로 대학원에서 주신 과제에 대한 발표자료라 대부분 캡처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GIST AI 대학원 면접 후기(문제시 삭제) GIST 면접 후기에 대해 자세히 쓰면 입학 취소가 되기에 혹시 문제가 된다면 이 글을 삭제하겠습니다 지난 11월 12일 오후 5시에 GIST 봄학기 2차의 AI대학원 통합과정의 서류 전형에 붙었었습니다. 서류 합격자들은 안내문서가 메일로 보내지게 됩니다. AI 대학원의 면접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소양시험(수학) - 9:30 ~ 10:30 2. 코딩 시험 - 10:40 ~ 11:10 3. 영어 인터뷰 - 11:30 ~ 12:10 (토익 750미만만) 4. 점심 시간 - 12:10 ~ 13:00 (영어 인터뷰 안하는 사람은 11:30분부터 점심시간) 5. 구술 면접 - 13:00 ~ 15:30 (면접시간 1인당 10분. 면접 끝나면 먼저 집에 가도 됨) 수학시험과 코딩시험은 모두 객관식 5지 선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합격 후기 먼저, 저의 4학년 1학기 기준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점 : 4.03 / 4.5 토익 : 815 토스 : 150(Level6) 자격증 : 컴활1급 인턴경험 : 자대(동아대) SoC 연구실 학부연구생 3개월 대외활동 : x 저는 대학원 진학을 곧바로 결정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저는 유튜브의 '언리얼엔진4를 사용하여 메이플스토리 세계를 만들어 보았다' 와 같이 제가 상상한 풍경을 가상세계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하지만 4학년이 되어 언리얼엔진이나 유니티엔진을 사용하여 VR 컨텐츠를 만드는 회사들을 알아본 결과, EVR 스튜디오, 바른손이앤에이 처럼 중견기업은 모두 경력직을 뽑고, 중소기업은 제가 이제껏 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버리고 새로 배우는 것이기에 두려웠었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제가 상상.. 서강대 전자공학과 대학원 면접 예상 질문 (인적성 질문) 본 글은 제가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대학원면접 준비에 앞서서 인적성 질문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혹시 다른분들께서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대학원면접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싶어서 공개로 해놓겠습니다. 실제로는 2가지 질문만 하셨습니다. 인적성 질문으로는 지원동기와 전공 질문으로는 4학년 2학기에 듣는 과목에 물어보신 뒤, 4학년 2학기 과목(예를들어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에서 뭘 배우는지)에 대해 물어보셨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졸업한 학교와 지원하려는 분야(정보 및 시스템 or 반도체 or 회로설계 등등)에 따라 질문 내용이 달라지는것 같았습니다. 저는 위의 2가지에 대해서만 물어보셔서 면접 시간이 10분정도였지만 다른 분들은 정확히 어떤것을 물어보신지는 모르겠으나 면접시간이 20~30분 걸린 분도 .. 신호처리 관련 질문 정리 1. 퓨리에 급수란? 모든 주기 신호는 그 신호의 기본파와 고조파의 합으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론입니다. 이때 각 신호의 크기를 알기 위해서는 그 신호의 켤레 복소수를 곱한뒤 한주기 적분을 해주면 됩니다 2. Transform Function은 왜 필요한가? 모든 신호는 복소지수함수 또는 정현파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 함수들은 시간과 주파수 식이므로 적분 변환을 사용하면 시간 또는 주파수 식으로 고쳐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신호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쉬워집니다. 3. 퓨리에 변환이란? 퓨리에 급수는 주기 신호일때 그 신호의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퓨리에 변환은 비주기 신호일때 주파수를 분석하기 위해 나온 변환식입니다. 비주기 신호는 주기가 무한대인 신호로 볼 수 있으.. 딥러닝 관련 질문 정리 1. 퍼셉트론 이란? 여러 입력신호들을 받아서 합친 뒤, 임계값을 검사하여 임계값보다 크면 1, 작으면 0을 출력하는 알고리즘. 이때 임계값 검사하는 함수는 Step Function을 사용합니다. 2. 다층 퍼셉트론 이란? 기존의 단층 퍼셉트론으로는 XOR 게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입력에 대한 출력의 관계가 비선형적이므로 Step Function으로는 XOR 게이트를 풀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퍼셉트론을 여러개 쌓으니 XOR 게이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3. 신경망 이란? 퍼셉트론을 쌓아서 만든 거대 비선형 분류기입니다. 뉴런들이 연결되는 방식은 다층 퍼셉트론과 유사하지만, 입력신호를 합치는 과정에서 활성화 함수라는 것을 사용하여, 입력데이터를 비선형적으로 추출해나가는 모델 4. 활.. 딥러닝 CNN 아키텍처 개념 정리 딥러닝 용어 관련 개념 정리 라플라스 변환과 퓨리에 변환 관계 + 수치 해석 근 찾기 1. 라플라스 변환과 퓨리에 변환 관계 2. 수치 해석 분야에서 근 찾는 방법(가위치법 제외) 이전 1 2 3 4 다음